소수주주의 임시주주총회 소집: 요건·절차 한눈에 보기

1. 먼저 알아두기

상법은 원칙적으로 이사회가 주주총회 소집을 결정하도록 합니다(상법 제362조). 그러나 발행주식총수의 3% 이상을 가진 소수주주는 임시주주총회 소집을 청구할 수 있고, 이사회가 지체하면 법원 허가로 직접 소집할 수도 있습니다(상법 제366조). 상장회사는 1.5% + 6개월 연속 보유로도 상법 제366조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(상법 제542조의6 제1항).

2. 임시주주총회 소집허가신청

가. 상법규정 요지

  • (지분 요건) 비상장: 3% 이상 / 상장: 1.5%+6개월 또는 3%.
  • (청구 방식) 목적사항·이유를 적은 서면·전자문서로 이사회에 제출.
  • (지체 시) 법원 소집허가 받아 주주가 직접 소집 가능, 법원은 의장 선임 가능.
  • (검사인) 회사 업무·재산 조사 위한 검사인 선임 가능.

나. 법원 소집허가신청 절차

  • 전단계: 이사회에 정식 청구(목적사항·이유 포함).
  • 신청: 목적사항은 주주총회 권한 사항, 정관·법률 위반 금지, 구체성 필요.
  • 진행 중 예외: 회사가 동일 안건으로 소집통지를 이행하면, 신청이익 결여로 기각.
  • 결정 이후: 허가 범위·조건을 확인하고 소집 준비.

다. 법원 허가 후 소수주주의 직접 소집 실무

  • 소집기한: 법원이 기한을 정하지 않으면 상당한 기한 내 소집.
  • 주주명부 확보: 회사가 제공하지 않으면 주주명부 열람·등사 가처분 검토.
  • 통지·공고: 목적사항 명시법정 기간 준수(상법 제363조).
  • 현장 운영: 의장·서기 지정, 녹음·영상 기록, 회사의 업무와 재산상태 조사를 위한 검사인 선임 고려(상법 제366조 제3항).

다른 기업법무 관련 글 보기

스타트 법무법인은 소수주주의 임시주주총회 소집 청구 등 주주 관련 분쟁에 대한 모든 법률 자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
관련 문의 사항은 저희 법무법인으로 연락 주시면 상세한 상담을 제공해 드리겠습니다.

메시지 남기기
02-6486-0011
hi@startlawfirm.com